코로나19 여파로 한산한 모습을 보이는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서 8일 오전 관광통역안내원들이 마스크를 쓴 채 근무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확산으로 한국 경기 전반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8일 발간한 ‘경제동향 3월호’에서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2월 수출이 중국을 중심으로 부진했고, 내수도 경제 심리 악화로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1월까지만 해도 경기 부진이 완화하고 있었지만 코로나19 영향이 2월에 본격화하면서 경기가 빠르게 위축됐다고 평가했다.
1월 전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0.5% 감소했지만 설 연휴가 끼어있어 조업일수가 전년보다 3일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 12월(3.9% 증가)과 비슷한 흐름이었다고 설명했다. 1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100.5)는 전월보다 0.3포인트 올랐고, 선행지수 순환변동치(100.3)도 전월보다 0.1포인트 오르는 등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2월 중반 이후 코로나19가 국내에 확산하면서 제조업 계절조정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1월 78에서 2월 67로 떨어졌고, 전산업 기업경기실사지수도 75에서 65로 크게 하락했다. 한국은행의 전산업 기업경기실사지수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전월 대비 하락 폭(-10포인트)이 최대치였다.
코로나19 영향이 반영된 2월 산업활동동향은 이달 말에 발표되지만 연구원은 일부 지표가 이미 경기 위축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2월 제주도 관광객이 전년 동월 대비 내국인(-39.3%), 외국인(-77.2%) 모두 급감해 서비스업 생산이 위축되고, 소비자심리지수는 1월 104.2에서 2월 96.9로 크게 떨어졌다. 연구원은 “코로나19가 2월 중순 이후 빠르게 퍼진 점을 고려할 때 2월 소비자심리지수 조사 기간(10~17일)에는 소비 위축 영향이 일부만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실제로는 그보다 더 위축됐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지난 6일 공개한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통해, 최악의 경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총생산 규모로는 165억3100만달러(약 19조7천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고용에도 영향을 줘 전체 취업자의 1.19% 수준인 35만7천명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업종별로는 운수업 생산액 증가율이 최대 2.41%포인트 감소하고, 호텔·레스토랑·기타 개인 서비스 생산 증가율이 2.13%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무역·공공서비스 생산액은 1%포인트, 경·중공업·공공사업·건설업은 0.67%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발 해외여행객이 6개월간 반토막나고 중국 내 소비·투자가 2% 감소하며, 한국에서도 코로나19 발병이 3개월간 지속하는 경우 등으로 가정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