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역시 41만2천명으로 역대 최대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고용 충격이 나타난 지난 3월 구직활동 계획이 없어서 `쉬었다'고 답한 사람이 237만명에 육박하며 통계 작성 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236만6천명으로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36만6천명(18.3%) 증가했다. `쉬었음' 인구는 물론 증가폭 모두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최대다. `쉬었음'은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나 육아, 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일을 하지 않는 경우를 뜻한다.
최근 늘어난 `쉬었음' 인구 가운데 상당수는 `잠재적 실업자'라는 지적이 있다. 특히 연령별로 20대 `쉬었음' 인구가 41만2천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10만9천명(35.8%)이나 늘었다. 20대 `쉬었음' 인구가 40만명을 넘어선 것도, 증가폭이 10만명 이상인 것도 모두 처음이다. 사회 초년병인 이들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쉬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어 40대(29.0%), 50대(16.4%), 60세 이상(11.2%) 등으로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인구 수로는 60대 이상이 93만7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47만2천명), 20대(41만2천명), 40대(26만8천명), 30대(23만5천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달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한 구직단념자도 최근 13개월 내 가장 많은 수준으로 늘었다. 3월 구직단념자는 1년 전보다 4만4천명 늘어난 58만2천명으로, 2019년 2월(58만3천명)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 2월에 비해서는 1개월 만에 4만7천명이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고 최근 1년 이내 구직활동을 한 경험도 있으나 노동시장 상황 등 비자발적 이유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뜻한다. 구직단념자는 지난해 9월부터 2월까지 6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에 비해 줄어들고 있었는데, 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이에 대해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페이스북에 “특히 20~30대에서 비경제활동인구 증가가 두드러진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며 “보건 위기 특성상 신규 취업시장 구인 급감 외에 대면 접촉 기피로 인한 구직활동 자체가 소멸하는 현상이 겹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