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62억달러 흑자…본원소득 흑자전환 영향
4월에는 무역적자에 외국인 배당급증 겹쳐
4월에는 무역적자에 외국인 배당급증 겹쳐
경상수지가 11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상품수지 흑자는 줄었지만 본원소득수지(임금·배당·이자)가 흑자로 전환하고 서비스수지 적자가 축소된 결과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를 보면, 3월 경상수지는 62억3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지난해 3월(50억4천만달러)보다 흑자폭이 11억9천만달러 늘었다. 상품수지 흑자는 70억달러로 1년 전(83억4천만달러)보다 13억4천만달러 줄었다. 수출이 464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3% 줄었다. 통관 기준으로 중국으로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한 반면 미국(16.8%), 유럽연합(9.5%) 등 다른 주요국 수출은 증가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출 타격이 확산되지 않은 셈이다. 반도체·석유제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단가가 떨어진 것도 수출 감소에 영향을 줬다. 수입은 394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0.6% 감소했다. 원유 등 원재자와 소비재 수입이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서비스수지는 적자 폭(14억6천만달러)이 1년 전보다 6억4천만달러 줄었다. 여행수지 적자는 2억달러 늘어났지만 지식재산권 사용료수지 적자가 4억1천만달러 축소된 영향을 받았다. 본원소득수지는 1년 전 적자(6억1천만달러)에서 9억3천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외국인이 투자한 기업의 수익성 악화 등으로 배당금 지급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이로써 올해 1분기(1~3월) 경상수지 흑자는 136억1천만달러로 지난해 동기(121억9천만달러)보다 14억2천만달러 늘었다.
하지만 4월에는 수출 급감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로 경상수지도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4월 무역수지는 9억5천만달러 적자로 99개월 만에 흑자 행진을 멈췄다. 여기에 계절적 요인으로 외국인 배당 지급 급증으로 본원소득수지 적자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4월 경상수지도 외국인 배당 지급 확대와 수출 악화로 3억9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한편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3월 중 57억7천만달러 증가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89억6천만달러 급감해 1980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국외 기타투자는 국내 증권사들의 국외 파생상품 거래 관련 증거금 납입 영향으로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