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오전 제주국제공항 국내선 출발 수속장에서 제주도 방역당국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제주 여행을 마무리하고 돌아가는 관광객에 대한 발열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1분기 제주의 소매판매와 서비스업 생산이 두 자릿수로 급감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분기 시·도 서비스업 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을 보면, 1분기 소매판매는 2.9%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전남을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모두 전년보다 감소했다. 관광업 중심인 제주가 14.8% 감소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코로나19로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면세점 판매액이 47%나 감소한 게 영향을 미쳤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발병이 집중됐던 대구도 9.9% 감소했다. 이어 인천(-9.1%), 서울(-7.9%), 대전(-7.5%), 부산(-6.5%), 광주(-5.6%), 울산(-5.2%)이 뒤를 이었다.
전남은 소매판매가 지난해보다 3.9% 늘어, 16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소매판매지수 조사 대상인 백화점과 면세점이 없고, 지난해 1분기 소매판매가 부진해 상대적으로 올해 판매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평균 1.1%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14개 시도에서 줄었다. 제주가 10.3%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영화 상영, 출판 등을 포함한 정보통신 서비스업이 28% 감소했고, 관광객 감소 직격탄을 받는 숙박·음식점업도 23.8% 줄었다.
이어 대구(-4.4%), 경북(-4.3%), 강원(-4.2%), 인천(-4%) 등이 비교적 많이 감소했다. 경기는 지난해와 동일했고, 서울은 2.3% 늘었다. 서울·경기가 서비스업 생산 감소를 피한 것은 코로나19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금융·보험업, 부동산업 등이 몰려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