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지난해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주요 품목의 국내 재고량이 2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공급 안정화를 계속 추진하는 한편 공급망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제2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를 열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과 관련 기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추진해온 100대 품목 공급 안정화 정책에 뚜렷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산업부는 100대 전략 품목을 선정해 20대 품목은 1년, 80대 품목은 5년 안에 국내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최근 산업부가 80대 품목 중 주요 품목의 국내 재고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7월 1.3개월 치에서 올해 1분기 2.6개월 치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자제어장치(1주→1.5개월), 기판소재(2주→2개월), 배터리 핵심소재(2주→3개월) 등은 주 단위이던 재고량이 월 단위로 크게 늘었다.
20대 품목의 경우 생산설비를 신·증설하는 총 7340억원 규모의 10개 프로젝트가 진행된 것으로 집계됐다. SKC의 블랭크 마스크 공장이 지난해 하반기에 신설됐고, 효성도 올해 탄소섬유 생산설비를 2배로 증설했다. 이 밖에 일부 기업에서 센서부품 공장과 비금속 소재 공장을 신·증설하고 있다.
성윤모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등 수급 불확실성 속에서 각고의 노력으로 소재·부품·장비 공급 안정화에 큰 성과를 이뤘다”며 “‘막상 해보니 되더라’는 경험과 자신감이라는 큰 자산을 얻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시대 이후에 대비해 민관 합동으로 글로벌 가치사슬(GVC)을 전면 개편하겠다고도 밝혔다. 공급망 관리 대상을 100개 품목에서 전 세계 338개 품목으로 확대하고, 수급 다변화를 통해 회복력이 강한 공급 체계를 구축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각 기업이 2·3차 협력사와도 공급·생산계획을 공유하도록 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개발에서 원·부자재 구매와 최종 제품 판매까지 가치사슬의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마련토록 하기로 했다.
양병내 산업부 소재부품장비총괄과장은 “이제는 고비용을 감수하고서라도 주요 품목을 국산화·다변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기업들 사이에서도 퍼지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앞으로 구체적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