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SIDEX 2020)에서 서울시 관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수칙 이행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은행(World Bank)이 한국을 세계은행 동아태지역 직원의 긴급의료 상황시 치료를 담당하는 ‘긴급의료 지정국가’로 결정했다. 긴급의료 지정국가는 세계은행 직원이 근무지에서 치료가 어려운 경우 옮겨가는 나라로, 의료와 생활여건이 우수한 국가가 선정된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최근 기재부에 서한을 보내 이같이 밝혔다. 빅토리아 콰콰 세계은행 동아시아·태평양담당 부총재와 아넷 딕슨 인적개발담당 부총재는 서한에서 “세계은행은 한국 정부와 국민들의 코로나19 대응 조처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다른 회원국들이 한국경험을 통해 얻을 교훈이 많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을 세계은행의 ‘긴급의료 지정국가’로 정하고,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사례연구 추진, 세계은행 보건전문가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에 배치하는 등 보건‧의료 분야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전달했다.
세계은행은 그동안 의료수준, 접근성, 안전 등을 고려해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긴급의료 지정국가로 태국과 싱가포르를 선정해 운영해왔는데, 이번에 한국을 새로 추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필리핀, 캄보디아, 몽골, 베트남 등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29개국에서 근무하는 세계은행 직원과 가족, 출장자의 긴급의료 상황 발생할 경우 한국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한국의 의료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인바운드 의료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케이-방역과 세계은행 긴급의료 지정국으로 확보한 한국의료(K-보건) 브랜드 파워를 활용해 경제적 성과 제고와 연계하는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