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5월 고용동향 발표
취업자 2693만명…39만명 줄어
서비스업 이어 제조업에서 감소폭 커
실업률, 작년보다 0.5%p 오른 4.5%
취업자 2693만명…39만명 줄어
서비스업 이어 제조업에서 감소폭 커
실업률, 작년보다 0.5%p 오른 4.5%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으로 5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9만명 감소해 지난 3월부터 석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실업률은 5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서비스업에서 시작된 취업자 감소가 제조업으로 번지면서, 코로나19 고용 충격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5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93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9만2천명 감소했다. 3월(-19만5천명)과 4월(-47만6천명)에 이어 석달 연속 취업자가 줄고 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의 고용 충격이 커지는 추세다. 올해 1~2월 반짝 증가했던 제조업 취업자는 3월 2만3천명 줄었고, 4월 4만4천명, 5월 5만7천명 등으로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
도소매업은 지난해부터 경기 부진으로 취업자가 줄어들던 중에 코로나19 이후 감소 폭이 커졌다. 지난 1월 9만4천명 줄었던 도소매업 취업자는 5월엔 감소 규모가 18만9천명으로 두배가량 늘었다. 건설경기 부진으로 건설업도 6만1천명 감소해 넉달 연속 줄고 있다. 숙박·음식점업도 3월부터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하지만 4월 21만2천명 감소 이후 5월에는 18만3천명 감소로 생활방역 전환 덕에 감소 폭이 다소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고용불안정 계층에 타격이 집중되고 있다. 임시근로자는 50만1천명 감소했고, 일용근로자도 15만2천명 줄었다. 상용근로자는 39만3천명 늘었다.
취업자에는 포함되지만 휴업 등 이유로 잠시 일을 하지 않는 일시휴직자는 102만명으로, 지난해보다 68만5천명 늘었다. 다만 증가 폭은 3월(126만명)과 4월(113만명)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다. 통계청은 5월부터 노인일자리 사업이 일부 재개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15살 이상 고용률은 60.2%로, 전년 동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살 고용률은 65.8%로 지난해보다 1.3%포인트 줄었다.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고용률이 하락했는데 20대(55.7%)가 2.4%포인트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실업률은 지난해보다 0.5%포인트 오른 4.5%로, 5월 기준 1999년 통계 작성 뒤 최고치다. 5월 취업자 감소 폭이 다소 완화하면서 일자리를 구하러 채용시장에 나온 이들이 늘어난 게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4월에는 구인·구직활동 자체가 줄어, 실업률이 낮아지고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5월 비경제활동인구 증가 폭은 55만5천명으로, 4월(83만1천명)보다 다소 줄었다.
실업자 현황을 좀 더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잠재 구직자’나 ‘추가로 일할 수 있는 취업자’를 합한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4.5%로 나타났다. 2015년부터 집계한 확장실업률은 그동안 11~13%대를 오르내렸으나 3월(14.4%), 4월(14.9%)에 이어 석달 연속 14%대를 돌파했다.
정부는 “5월 들어 고용상황이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확산세가 심각해 고용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이다. 2009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에는 1월부터 8월까지 8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하다가 9월 한 달 반짝 상승한 뒤, 10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넉 달 연속 하락했다. 사실상 1년간 고용 충격이 이어진 셈이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