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들어 10일까지 일평균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8% 감소했다. 4월과 5월에 비해 감소 폭이 다소 줄었다.
11일 관세청이 발표한 ‘6월1~10일’ 수출입동향을 보면, 이 기간 수출은 123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2% 늘었다. 지난해보다 조업일수가 이틀 더 많았기 때문인데,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15억4천억 달러로, 지난해(17억달러)보다 9.8% 줄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22.6% 늘었고, 무선통신기기가 35.8% 증가했다. 의약품도 136.7%로 급증했는데, 관세청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진단시약, 소독제, 백신 등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석유제품은 저유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8% 감소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외국의 봉쇄조치 영향으로 승용차 수출은 37% 줄고, 자동차부품도 30.2% 감소했다. 나라별로는 중국으로 수출이 35.7% 늘었고, 미국(15.1%), 유럽연합(22.2%), 일본(10%) 등에서 증가했고, 중동(-7.3%), 호주(-29.5%) 등 감소했다.
6월1~10일 수입은 13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5% 늘었다. 반도체(21.8%), 기계류(20.3%), 승용차(27.7%) 등은 증가했고, 원유(-62.8%), 가스(-1.2%) 등은 감소했다. 나라별로는, 중국(25.7%), 미국(27.2%), 유럽연합(31.3%), 일본(19.5%), 베트남(22.3%) 등은 증가했고, 중동(-42%), 호주(-10.9%) 등은 감소했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지난 4월 수출이 25.1% 감소했고, 5월에도 23.7% 줄었다. 6월 초반 10일은 조업일수가 늘어난 덕에 수출이 전년보다 늘었지만, 곧바로 수출이 회복한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반도체 경기는 디램 재고 소진 속도가 다소 더디고, 자동차는 미국과 유럽 등 우리의 주력시장이 아직 온전히 회복하지 못해서, 6월 전체 수출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