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출생아 수가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최소를 기록했고, 인구도 7개월 연속 자연 감소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인구동향’을 보면, 5월 전국 출생아수는 2만3001명으로 전년 같은 달(2만5360명)보다 2359명(-9.3%) 줄었다.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최소다.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 이후 54개월 연속 직전 해보다 감소했다. 5월 사망자 수는 2만4353명으로 1년 전(2만4750명)보다 397명(-1.6%) 줄었다. 이에 따라 5월 인구 자연증가(출생아 수-사망자 수)는 -1352명이었다. 작년 11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져, 올해 연간으로 사상 첫 인구 자연감소가 점쳐진다.
혼인건수는 1만8145건으로 1년 전(2만3045건)보다 4900건(-21.3%) 줄었다. 5월 기준으로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적었다. 통계청은 혼인의 주 연령층인 30대에서 인구 감소가 계속되고 있고, 코로나19로 결혼식과 혼인 신고를 미룬 점, 혼인신고 일수가 1년 전보다 이틀 적은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5월까지 올 누적 혼인건수는 9만2101건으로 역시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적다. 이혼 건수는 8929건으로 1년 전(9861건)보다 932건(-9.5%) 줄었다.
한편 6월 국내 이동자 수는 5년 만에 가장 많은 60만여명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6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입신고로 파악된 이동자 수는 60만7천명으로 1년 전(48만4천명)보다 25.3%나 늘었다. 2015년 6월(65만명)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최대다. 통계청은 주택 매매가 대폭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매매량은 2006년 11월(17만3797건)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은 13만8578건에 달했다. 2분기 기준으로 이동자 수는 179만명으로 전년 동기(164만1천명)보다 9.1%(14만9천명) 늘었고, 연령별로는 20대(40만7천명), 30대(37만4천명) 순으로 많았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