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용 쌀에서 벌레(바구미)가 발생하는 등 공급에 문제가 생겼다는 지적에 공급기간을 단축하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았다. 앞서 <한국방송(KBS)>은 경남 창원시의 70대 홀몸노인이 주민센터로부터 복지용 쌀을 받았는데 수백마리의 바구미가 기어다니는 등 먹을 수 없을 정도였다고 보도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바구미가 나온 원인은 쌀 도정 뒤 여름철 오랜 기간에 걸쳐 보관·공급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해당 복지용 쌀은 8월5∼9일 사이 도정된 뒤 공급하는데 46∼50일 정도 걸렸다. 농림부는 쌀은 교환 조처했고, 같은 기간에 도정·공급된 쌀에 대해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는지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농림부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에 소득수준에 따라 10㎏ 기준 1만원 안팎으로 복지용 쌀을 공급하고 있다. 지자체에서 매월 10일까지 신청 받아, 1차는 같은 달 21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희망나르미나 지역자활센터 등을 통해 직접 전달하고 있다. 2차는 다음달 1일부터 15일까지 배송한다.
농림부는 이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매월 복지용 쌀의 소요량을 감안해 적정량을 도정한 뒤 최대 1개월 이내에 공급을 완료하도록 전달 방안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도정공장, 보관창고 및 배송업체에 대해 지자체와 농신물품질관리원이 함께 위생·청결 상태, 해충발생, 품위변질 여부 등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하절기 등 쌀 품질 변화가 우려되는 시기에 도정한 쌀은 저온창고나 냉장설비를 갖춘 창고에 우선 보관·공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