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해운동맹 기본합의서 온라인 협약식 화면. 해양수산부 제공
에이치엠엠(HMM)과 에스엠(SM)상선 등 5개 국적선사가 한국형 해운동맹을 구성해 동남아 항로의 경쟁력 강화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23일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동남아항로를 운항하는 에스엠상선과 에이치엠엠(옛 현대상선), 장금상선, 팬오션, 흥아라인 등 5개 국적선사가 한국형 해운동맹(가칭 케이-얼라이언스)을 구성하기 위해 선사 간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동맹은 동남아 항로 국적선사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수부와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제안하고, 한국해운연합(KSP)에 속한 국적선사들이 참여 의향을 보이면서 성사됐다. 해수부는 “국적선사만으로 구성된 해운동맹은 최초로 시도되는 것”이라며 “동남아 항로 운항하는 11개 선사 중 이번에 참여하지 못한 나머지 6개 선사는 해운동맹 출범 이후 부분적으로 참여하거나 기존 회원사들과 협의해 정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기본합의서를 체결한 한국형 해운동맹은 이르면 내년 2분기에 공식 발족할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에 따르면 한국발 동남아항로 정기선 시장에서 국적선사들의 시장점유율은 전체 선복량 48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 가운데 40% 수준인 19만TEU로, 최근 글로벌 선사들의 투자 확대로 시장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다. 해수부는 이번에 시도되는 ‘한국형 해운동맹’을 통해 출혈 경쟁을 피하게 되면 노선별 선박 중복 투입 선박 감축 등 항로 구조조정이 가능하며, 공동 계약 및 공동 투자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한국형 해운동맹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회원 선사들에게 신규 선박 확보 및 컨테이너 박스 조달 등에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병행할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2018년 해운재건 5개년 계획 발표 이후 한진해운 파산 이후 어려움을 겪던 원양국적선사가 흑자로 전환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며 “해운산업의 나머지 한 축인 연근해국적선사들도 한국형 해운동맹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