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에스앤피(S&P)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3.6%로 내다봤다. 정부 전망치 3.2%보다 0.4%포인트,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 3.1%보다는 0.5%포인트 높다.
숀 로치 에스앤피 아시아 수석 경제학자는 27일 에스앤피와 나이스신용평가가 함께 개최한 ‘2021년 신용위험 전망: 경제 회복과 부채 증가의 균형잡기’ 세미나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1.0%, 올해는 3.6%로 내다봤다. 그는 “한국이 지난해 코로나19에 대응을 잘했고, 수출이 견조하게 유지됐지만 고용에서는 충격이 있었다”며 “(코로나19) 백신 보급이 광범위하기까지는 완전한 회복은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회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정 지원을 서둘러 줄여서는 안되고, 일자리와 관련된 지원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이엠에프는 지난 26일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3.1%로, 미국과 일본은 각각 5.1%, 3.1%로 내다봤다. 에스앤피는 미국과 일본은 4.2%, 2.7%로 내다봐 한국의 성장률을 상대적으로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또다른 글로벌평가사인 무디스는 3.1%(지난해 12월 발표), 피치는 3.7%(지난해 10월 발표)로 올해 한국 성장률을 내다본 바 있다.
로치 수석 경제학자는 “올해 한국의 수출 성장은 4.2%, 민간 소비는 4.5%로 예상한다”며 “민간 소비가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수출이 둔화한다면 하방 리스크는 존재하고, 이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킴엥 탄 에스앤피 상무는 한국의 신용등급과 관련해 “한국의 부채 수준은 다른 고소득국가에 비해 낮다”며 “최근 (국가별) 등급에 대한 조정 압력이 커지고 있지만, 한국은 전반적으로 하향조정 리스크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또 “전반적으로 국가 채무가 낮고, 주요 업종의 실적이 좋은 등 성장세가 견조하며 “재정 적자가 굉장히 악화되지 않는 한 한국의 신용등급이 부정적으로 영향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