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금리 조정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는 가운데 금융통화위원회 다수 위원도 통화 정책 정상화를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오는 7∼8월 금리 인상 소수 의견이 나오고, 연말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15일 한은이 공개한 ‘2021년 제10차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지난달 27일 열린 회의에서 다수 위원이 직·간접적으로 금리 인상 필요성을 거론했다.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3∼4명이 매파(긴축정책 선호) 색깔을 드러냈다. 금통위원들은 이날 만장일치로 사상 최저인 연 0.5% 기준금리를 유지했지만, 향후에는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 것이다.
ㄱ위원은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통화 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다소 조정해 나가는 것을 고민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ㄴ위원 또한 “실물경기의 추가 확대 여부, 물가 경로 추이, 그리고 가계부채를 비롯한 금융 불균형 위험의 심화 가능성 등을 주시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금씩 조정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고 밝혔다.
ㄷ위원은 “이례적으로 완화적인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를 정상화해 나가는 과정이 지나치게 미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ㄹ위원 역시 “이례적인 수준으로 완화했던 통화정책 기조의 일부 조정을 검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다른 1명 위원은 아직 금리를 올릴 때가 아니라는 뚜렷한 비둘기파(완화정책 선호) 입장을 보였다. 이 위원은 “인플레이션이 하방압력에서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당행이 중기적 시계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수준에 미달하며, 경기확장의 탄력을 선제적으로 제어할 뚜렷한 이유가 없는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상 필요성을 제기한 위원들은 빠른 경기 회복, 금융 불균형, 물가 상승세 등을 근거로 지목했다. 일부 위원은 “하반기 정부 추가 부양책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빠른 진전, 글로벌 반도체 경기 흐름 강화로 성장 경로의 상방 리스크가 다소 우세해 보인다”며 “마이너스 국내총생산(GDP)갭의 해소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물가에 대해서는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2%로 상당 폭 상향 조정되고 근원인플레이션율도 하반기로 갈수록 오름 폭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향후 물가 흐름을 내다보는 시각에 많은 변화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 위원은 “저금리에 따른 경제 주체들의 위험 선호와 수익 추구 강화가 금융 불균형 누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으며, 과거 경험 등에 비추어 볼 때 내부 취약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대외 충격이 발생할 경우 경기 및 금융의 안정성이 크게 훼손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 분위기가 달라지면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은 훨씬 높아질 전망이다. 올해 남은 금통위 회의는 총 4차례(7월, 8월, 10월, 11월)다. 시장에서는 서서히 금리 인상 예측 시점을 내년에서 올해로 변경하고 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상반기 말에 정책 기조 전환에 대한 큰 그림을 제시한 후 올해 4분기에 기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