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18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8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2021년 제4차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2031년까지 총 100기 이상의 초소형 공공위성을 개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열여 “정부 주도로 국방·통신 등 분야에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해 시장 수요를 형성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발사체 개발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국제 우주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협정’에 가입한 것을 배경으로 꼽았다. 아르테미스 협정은 2024년 유인 달 탐사 계획으로, 한국을 비롯해 10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우주개발 분야에 민간참여가 활발해짐에 따라 위성통신, 관측자료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는 등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열리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이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우주산업 생태계를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장조성 △전문인력 양성 △위성통신기술 개발 등 3개 분야에서 육성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시장조성을 위해 2031년까지 국방·통신 등 분야에서 총 100기 이상의 초소형 공공위성을 개발·구축할 계획이다. 혁신 중소·벤처기업의 위성 기반 서비스모델 개발을 위해 민간 초소형 위성시스템 설계 등 비용을 3년에 걸쳐 기업당 약 20억원을 지원하고, 개발기간·비용 절감을 위해 상용부품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연간 100명 규모의 채용 연계형 연수 프로그램, 연간 60명 내외 학점 연계형 실습 커리큘럼을 개발·운용한다. 연간 200여명 이상의 재직자 재교육도 추진한다. 위성통신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6세대(G) 통신서비스의 핵심기술인 위성통신 시장 선점을 위해 위성주파수 조기 확보 및 2031년까지 14기의 통신위성을 개발·발사할 계획이다. 도심항공교통(UAM), 지능형 해상물류, 항공기·선박·와이파이서비스 등 연계서비스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