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내역 공개등 자구책
손해보험사들이 만성적인 자동차보험 영업 적자를 줄이기 위해 사업비를 줄이고 보험금 누수 방지를 뼈대로 한 자구책을 마련했다. 지난 4월 노무현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이례적으로 자동차보험 영업 적자 대책을 주문한 이후 3개월여만이다.
손해보험협회가 12일 내놓은 자동차보험 경영 정상화 방안을 보면, 보험사들은 오는 8월부터 자동차보험의 사업비 절감 목표와 이행 계획을 손보협회에 내야하고, 9월부터는 예정 사업비와 실제 사업비 집행 내역이 공개된다. 사업비는 보험사 직원들의 인건비와 마케팅 비용, 모집 수수료 등을 합친 것으로, 이를 공개하게 되면 사실상 자동차보험료 원가가 공개되는 셈이다. 지난해 보험사들은 자동차보험 사업비로 2조5838억원을 썼는데, 이는 애초 계획보다 3329억원이 많은 것으로 만성적인 적자의 주요 원인이었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지금껏 출혈 경쟁을 벌여왔지만, 앞으로는 사업비 절감을 위해 모집 수수료를 줄이고 인건비 절약을 위해 구조조정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험사들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목을 매고 있는 ‘보험료 인상’의 명분을 얻기 위해서라도 이번 자구책을 통해 뭔가 성과를 보여줘야 하는 입장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경영 정상화 방안에는 보험사기 조사 인력을 늘리고, 보험 가입 심사를 강화하는 등 새나가는 보험금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보험사기로 피해를 입은 가입자는 보험료가 할증되지 않도록 했고, 과다한 보험금 지급으로 불필요한 입원을 조장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입원비 지급 특약 상품 등의 개발은 억제하기로 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