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단기자금 빠듯 하락세 지속은 어려울 듯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가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도 4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떨어졌다.
국민은행은 4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내린 5.77~7.37% 적용한다. 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하락한 것은 지난 2월19일 이후 처음이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도 4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지난주 초보다 모두 0.03%포인트 내린 6.14~6.84%와 6.15~7.00%로 고시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각각 5.96~7.46%와 6.06~7.16%로 0.01%포인트씩 하락했다.
이런 하락 추세는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시디 금리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시디 금리는 4월16일 4.94%에서 지난달 17일 5.07%로 큰 폭으로 올랐다. 하지만 금융감독 당국이 은행들의 무분별한 은행채와 시디 발행을 경고한 뒤 은행들이 시디 발행을 줄이자 지난달 31일부터 이틀 동안 0.03%포인트 떨어졌다.
그러나 주택대출 금리 하락세가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의 단기자금 사정은 여전히 넉넉지 않기 때문이다.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와 펀드로 자금이 계속 이동할 경우 은행들이 시디를 발행해 단기자금 조달을 늘릴 가능성이 높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가 좋아져 민간의 자금 수요가 늘어나면 이를 충당하기 위한 자금 조달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시디나 은행채 금리가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다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의 출연요율 인상과 근저당권 설정비의 은행 부담 등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 인상 요인들도 대기하고 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