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침체로 상장사들 CB·BW 통해 자금조달
자금이 필요한 상장사들이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사채 발행에 몰리고 있다. 증시 악화로 실패 가능성이 높아진 유상증자 대신 이보다 불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올 들어 이달 7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이 공시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규모는 961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늘어났다. 이들 사채 발행을 결정한 회사도 지난해 41곳에서 54곳으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유상증자 규모는 2조9947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2.05% 줄었고, 회사도 52곳으로 두곳이 감소했다.
이는 인수·합병(M&A)이나 운영자금 등 기업들의 자금 수요는 늘어나지만, 증시 침체로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기는 어렵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최근 주주배정이나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는 줄줄이 실패하고, 성공하는 경우는 증자 참가자를 미리 정해두는 3자 배정 방식 정도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향후 주가 희석화, 자금 상환 압력, 경영권 위협 등의 가능성에도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에 나서고 있다.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전환이나 행사 시점에 발행수량 만큼 주식 가치가 희석돼 주가가 하락할 수 있고, 주가가 애초 정한 전환가액이나 행사가액을 지속적으로 밑돌 경우는 만기 자금 상환 요구도 가능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기업들이 유상증자보다 불리한 사채 발행에 나서고 있는데, 긴급히 자금은 필요하고 유상증자 등을 통한 자금 조달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