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은 6000억 줄어들어…정부 곧 대책 발표할 듯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둔화하고 있는 반면 비은행권은 급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강화되자, 보험·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으로 대출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현실화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2금융권 대출을 옥죄는 대책이 조만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금융감독원의 자료를 보면, 24일 현재 9월 중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순증액은 2조원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과 견줘 6000억원이 줄어들었다.
이와는 달리 비은행권(보험·상호금융·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회사) 대출 순증액은 9000억원으로 2000억원 증가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9월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2조6000억원 정도 늘어 올해 1월 이후 가장 적은 순증액을 기록할 전망이다. 1월에 2조2000억원이었던 은행권의 월별 주택담보대출 순증액은 2~5월에 3조원 안팎을 기록하다 6월과 7월엔 각각 3조8000억원, 3조7000억원으로 급증했고 8월에는 3조2000억원으로 다소 줄었다.
대출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는 비은행권에는 갈수록 대출 수요가 몰리고 있다. 올해 초 감소세를 보이던 비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3, 4월에 각각 1000억원 늘어난 뒤 5월 6000억원, 6월 7000억원, 7월 8000억원, 8월 1조2000억원 등 갈수록 증가 폭이 커졌다.
9월에는 1조4000억원 안팎의 순증액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감독당국은 비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의 자금용도 등을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규제강화 시기를 저울질하기 시작했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25일 기자간담회에서 “(비은행권) 대출증가가 은행권 대출 규제의 실효성을 줄이는 쪽으로 영향을 준다면 그에 상응하는 조처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