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자이익 33조원대
신한 위기서도 1위로
신한 위기서도 1위로
국내 은행들의 올해 실적이 지난해보다 50% 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에는 더 좋아져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2007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신증권은 20일 케이비(KB)·우리·신한·하나 등 4대 금융지주사와 외환·기업·대구·부산·전북 등 5개 은행의 올해 연간 순이익이 8조700억~8조800억원으로 지난해의 5조2500억원에 견줘 54%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손충당금(손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두는 돈)은 10조3000억원 정도로 지난해보다 1조원 안팎 증가하지만, 지난해 28조8000억원 수준이던 은행의 전체 순이자이익이 올해는 33조1000억원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또 하이닉스 지분 매각 등으로 비이자이익이 5조3000억원가량 발생한 것도 은행들의 순이익 개선 요인으로 꼽힌다.
개별 금융지주사와 은행별 실적 전망을 보면, 신한금융의 올해 순이익이 2조5200억원 수준으로 가장 많을 것으로 점쳐졌다. 반면 케이비금융은 200억~300억원의 순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케이비금융은 올해 대손충당금을 워낙 많이 쌓은데다 6000억원대에 달하는 은행의 명예퇴직금 지급 등으로 인해 실적 회복에 발목이 잡혔다.
국내 은행들의 내년 실적은 올해보다 더 좋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리면 예대 금리차 확대 등으로 순이자마진 개선추세가 지속되고,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 대손충당금도 줄어들어 은행들의 순이익이 많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의 순이자이익은 올해보다 3조원가량 증가하고 대손충당금은 올해 10조원대에서 8조원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혁재 아이비케이(IBK)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내년에는 순이익이 올해보다 14%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당장 내년에 2007년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