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전세자금 은행별로 0.10~0.18%p씩
전문가 “점진적 인상·저소득층 금리우대 필요”
전문가 “점진적 인상·저소득층 금리우대 필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자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신용대출 등 각종 대출 금리를 일제히 올리고 있다.
16일 시중은행들의 자료를 종합하면, 국민은행의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17일부터 연 4.73~6.03%가 적용된다. 지난주보다 0.18%포인트 오른 것으로,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연 6%대에 진입한 것을 1년 만이다. 우리은행도 17일 적용되는 시디 연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1주일 전보다 0.12%포인트 인상한 연 4.32~5.64%로 고시했다. 두 달 전과 비교하면 0.26%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신한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연 4.52~5.92%로 고시해 1주일 전보다 0.12%포인트 높아졌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3영업일 평균 시디 금리를 대출 기준금리로 사용하고 있어 17일 시디 금리에 변화가 없다면, 이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오는 18일 0.06%포인트 추가 인상된다.
전셋값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권 전세자금 대출 금리도 올라 전세를 구하려는 사람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국민은행의 6개월 변동금리형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지난 14일 기준 연 5.09~6.39%에서 17일부터 5.19~6.49%로 0.10%포인트 인상된다. 우리은행의 우리전세론 금리도 17일부터 연 5.12~5.84%로 13일보다 0.12%포인트 오른다. 신한은행의 신한전세보증대출 금리도 연 5.22~6.72%로 0.12%포인트 인상된다.
신용대출의 경우도 우리은행의 대출 금리가 17일부터 연 6.07~9.02%로 0.12%포인트 인상되면서 최고 금리가 연 9%를 넘어선다.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도 연 5.60~8.21%와 6.38~8.28%로 각각 0.1%포인트와 0.18%포인트 인상된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오르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인 가계부채의 급증세를 둔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급격한 금리 인상은 가계부실 증가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은 만큼 점진적인 금리 인상과 함께 저소득층에 대한 금리 우대, 가계부채 구조조정 등 보완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