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급증과 금리 상승으로 올해 가계의 이자 부담액이 56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7일 금융권 및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올해 가계대출 이자부담 총액은 56조2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국민총소득(1173조원)의 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내수 침체가 우려된다.
이자 부담액 급증은 대출 금액이 늘고 금리가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797조4000억원이었던 가계대출은 올해 9월 말 840조9000억원으로 증가했다. 1년 새 43조원이 늘었다.
금융기관별 대출액은 은행이 431조5000억원에서 449조6000억원으로 18조원 많아졌고, 농협 대출이 7조3000억원, 보험사 대출도 4조원 증가했다.
대출금리도 급등했다. 지난해 말 연 5.35%였던 은행 대출 금리는 올해 9월 말 5.86%까지 뛰었다. 대출 증가를 고려하면 은행 이자부담 증가액만 3조3000억원에 이른다. 저축은행도 금리가 연 12.7%에서 16.7%로 4%포인트나 올라 이자 증가액이 5000억원을 넘었다.
기관별로는 은행 고객의 이자 부담이 26조3000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카드·캐피털사가 7조4000억원, 농협이 6조4000억원에 달했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경제학)는 “대출이자와 가계대출의 증가는 심각한 내수 침체 현상을 불러올 수 있다”며 “가계부채는 현 정부 말기나 다음 정부 초기에 대형 폭발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에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