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채권단 회의
신보, 동부제철 지원 난색
“추가 구조조정계획 제출” 압박
동부 “채권단 판단뒤 대응책 마련”
신보, 동부제철 지원 난색
“추가 구조조정계획 제출” 압박
동부 “채권단 판단뒤 대응책 마련”
유동성 위기에 몰린 동부제철의 구조조정 방향이 30일 채권단 회의를 기점으로 결정될 전망이다. 신용보증기금(신보)이 동부제철의 회사채 차환발행 지원에 난색을 보이면서, 애초 예상대로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이 추진되는 대신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으로 갈 가능성도 점쳐진다. 동부씨엔아이(CNI)를 비롯한 다른 계열사들에 대한 구조조정도 7월 첫주에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29일 동부제철 채권단에 따르면, 산업은행 등 동부제철 채권은행들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회의를 열어 동부제철의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 24일 동부제철이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런 방침은 신보가 동부제철 회사채의 신속인수제 지원에 반대하면서 난항을 겪고 있는 중이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신보와 산업은행 등이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에 회사채 차환발행을 지원하는 제도다. 동부제철은 새달 7일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700억원 가운데 500억원에 대한 신속인수제 지원을 차환발행심사위에 신청한 상태다. 신보 관계자는 “동부그룹 구조조정안의 핵심이었던 동부제철 인천공장 등의 패키지 매각이 무산된 만큼 추가적인 구조조정 계획이 제출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남호 동부제철 부장의 동부화재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라는 압박인 셈이다. 차심위가 동부제철 회사채 차환발행을 승인하면 500억 가운데 240억원을 신보가 인수해야 한다.
이에 대해 동부그룹 관계자는 “30일 자율협약을 신청할 예정”이라며 “현재로선 김남호 동부제철 부장의 동부화재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기 어렵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 채권단의 판단을 들어보고, 거기에 맞춰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만일 신보가 계속 차환발행을 거부하면 채권단의 지원 부담이 늘어나고 채권단 100% 동의를 전제로 하는 자율협약도 어려워지게 된다. 금융당국 쪽에선 가급적 워크아웃보다는 자율협약이 추진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다. 자율협약은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맞은 기업을 선제적으로 구제하는 취지로 마련된 것인 데 비해, 워크아웃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강제성을 갖는 제도다. 금융당국으로선 워크아웃이라는 ‘본격적인 수술’에 들어가기 전에 주채권자가 구조조정을 주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자율협약이라는 ‘응급처치’로 마무리되길 바라고 있다.
새달 만기가 도래하는 동부그룹 주요 계열사의 회사채 규모가 2200억원에 달하는 만큼, 동부 김준기 회장 일가의 추가 담보 제공이 있어야 한다는 금융당국과 채권단의 압박도 점차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동부그룹 비금융계열사의 지주사 격인 동부씨엔아이는 새달 5일에 200억원, 12일에 300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애초 회사채를 새로 발행하려던 계획이 차질을 빚으면서 자체 자금으로 변제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이에 실패할 경우 법정관리로 직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금압박에 처해 있는 동부메탈도 자구계획을 마련해 채권단에 지원을 호소할 예정이다. 따라서 채권단이 동부제철에 대한 구조조정 방향을 정하고 동부씨엔아이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는 7월 첫주가 향후 동부그룹의 운명에 중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황보연 정남구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