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이 동부그룹 계열사인 동부제철에 대해 채권단 자율협약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30일 시민들이 서울 대치동 동부그룹 본사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신보, 조건부 참여 방향선회
CNI 위기 돌파안은 안갯속
CNI 위기 돌파안은 안갯속
인천공장 등의 매각이 무산되면서 유동성 위기에 처한 동부제철이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을 추진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한숨 돌리는 모양새다. 동부그룹 제조계열사의 지주회사 격인 동부씨엔아이(CNI)도 법정관리는 피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구체적인 자구책 마련은 아직 안갯속에 싸여 있다.
동부제철 채권단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신보) 등 10개 채권 금융기관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동부제철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동부제철의 자율협약을 전제로 논의가 이루어졌다”며 “신보와의 협상이 마무리되면 자율협약 체결을 위한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제철은 7일 만기가 돌아오는 700억원의 회사채를 갚아야 한다. 채권단은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통해 차환 발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차환 발행을 할 경우 240억원을 떠안아야 하는 신보가 반대하면서 자율협약 추진이 난항을 겪어 왔다. 신보가 나서지 않으면 다른 채권은행들의 지원 부담이 늘어나 자율협약이 어려워지고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으로 가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신보가 자신들의 채권을 우선적으로 상환해주도록 하는 우선변제권을 조건으로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자율협약 쪽으로 기울고 있다. 산은 관계자는 “다른 채권은행들이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우선 변제하는 쪽으로 신보를 설득하고 있다”고 전했다.
동부제철은 이날 오후 늦게 채권단에 자율협약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보의 참여가 최종 결정될 경우, 1일부터 동부제철과 자율협약을 맺기 위해 각 채권은행이 내부 의사결정을 거치게 된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7일 회사채 차환 발행이 결정되고 자율협약도 같은 날 공식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렇게 될 경우 급한 불은 끄게 되는 셈이지만 근본적으로 동부제철 유동성 위기는 인천공장 매각이 이뤄져야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5일과 12일 각각 200억원과 300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동부씨엔아이는 동부그룹이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는 형국이다. 산은은 “동부가 알아서 할 일”이라며 지원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동부씨엔아이는 은행 대출이 적은 차입 구조라서 채권단이 도와줄 여지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부가 자체 보유자금과 일부 사업 부문 매각 등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동부 쪽에서는 내심 산은이 100억원을 지원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동부그룹 관계자는 “어떤 식으로 문제를 풀지 검토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황보연 김정필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