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차기회장 선임 앞두고
경제개혁연대, 소액주주운동 추진
“주총 참석 주주권 적극 행사”
외국인 투자자들도 ‘조직갈등’ 불만
“지배구조 관련 의견 듣고싶다”
다음달 초 한국 방문 예정 알려와
노조도 주총서 주주제안 추진 계획
최대주주 국민연금 감시역할 주문도
경제개혁연대, 소액주주운동 추진
“주총 참석 주주권 적극 행사”
외국인 투자자들도 ‘조직갈등’ 불만
“지배구조 관련 의견 듣고싶다”
다음달 초 한국 방문 예정 알려와
노조도 주총서 주주제안 추진 계획
최대주주 국민연금 감시역할 주문도
사상 초유의 조직갈등을 겪은 케이비(KB)금융의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 소액주주와 노조가 적극 개입할 의사를 밝히고 나서는 등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감시·견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외국계 기관투자자들도 케이비 사태와 관련해 시민단체와 접촉을 갖는가 하면, 한국 정부를 비공식 방문해 유감을 전달하기로 하는 등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은 23일 금융감독원 초청 간부 대상 강의에서 “임기 3년을 제대로 채우지 못하는 낙하산 최고경영자(CEO)로는 케이비가 새로운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어렵다”며 “케이비금융 회장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에 참석해 회장 후보가 2만5000명의 거대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경영능력이 있는지에 대해 주주들과 함께 직접 설명을 요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개혁연대는 이달 말까지 내부 논의를 거쳐 세부 대응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과거 재벌기업을 상대로 소액주주 운동에 주력해온 경제개혁연대는 앞으로 케이비금융과 우리은행 등 금융회사를 타깃으로 삼을 구상이다. 주총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국내외 기관투자자들과 연계해 주주제안 및 표 대결, 대표소송 제기 등 다양한 주주권 행사를 벌일 계획이다. 케이비금융은 정부 지분이 1%도 없는 민간회사인데도 낙하산 인사가 반복되면서 내부갈등, 금융사고, 금융당국 징계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움직임이 케이비금융의 외국계 기관투자자들과 연계될 경우 그에 따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비금융의 전체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은 6월말 기준으로 전체의 63.95%에 달한다. 김 교수는 이날 강의를 끝낸 뒤 <한겨레>와 만나 “경제개혁연대 연구원이 홍콩과 싱가포르에 헤드쿼터(본부)를 둔 케이비금융의 기관투자자 20여곳과 접촉하기 위해 오늘 홍콩으로 출국했다”며 “최근 케이비금융의 조직갈등 사태를 접한 기관투자자들이 케이비의 거버넌스(지배구조) 이슈에 대해 직접 의견을 청취하고 싶다는 연락을 해왔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10월초께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기관투자자 일부가 한국 정부를 방문해 경제정책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는 동시에, 이번 케이비 사태 등을 보면서 가졌던 불만에 대해서도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향후 사태 전개에 따라 경제개혁연대가 이들의 지분을 지렛대로 표 대결에 나설 수도 있다.
케이비금융의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이 제구실을 해야 한다는 요구도 한층 커지고 있다. 6월말 기준일 현재 국민연금의 지분율은 9.96%를 차지하고, 뉴욕멜론은행이 8.37%로 뒤를 잇고 있다. 하지만 뉴욕멜론은행의 경우, 주식예탁증서(DR) 발행을 대행하는 기관이어서, 사실상 5% 이상 의결권을 행사하는 유일한 대주주는 국민연금밖에 없다. 경제개혁연대 강정민 연구원은 “올해 3월 정기 주총에서 케이비금융지주에 대한 의결권 행사 내역을 공시한 기관투자자들은 40여곳이며, 국민연금과 기관투자자들의 지분을 모두 합산하면 약 19%에 이른다”며 “이들이 차기 시이오 선임 과정이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감시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은행노조도 우리사주조합 지분을 발판으로 차기 시이오 선임 과정에 압박을 가할 계획이다. 금융노조 케이비국민은행지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인선자문단 구성을 통해 회장 선임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회추위에 직원대표 추천위원을 포함시키고 후보자 적격성 기준과 자격조건 제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케이비금융 회추위는 지난 19일 사외이사 9명만으로 구성돼 회장 선임 절차를 밟고 있다.
노조는 회추위 논의 경과에 따라, 사외이사 해임과 직원대표 추천 사외이사 선임 등을 위한 주주제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사주조합 지분율은 0.72%(6월말 기준)인데,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 0.25%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으면 주주제안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주제안권은 주총에서 의안을 제안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