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경영정상화 명분 내세워
일괄사퇴 거부하고 임기 채울듯
책임 안지고 당국에 되레 불만
KB지주 사외이사 거취도 관심
일괄사퇴 거부하고 임기 채울듯
책임 안지고 당국에 되레 불만
KB지주 사외이사 거취도 관심
케이비(KB)금융 내분 사태를 키운 또 다른 주역이라는 점에서 케이비 사외이사들에 대한 책임론이 커지고 있지만, 이들은 즉각사퇴하는 대신 대부분 임기를 채울 것으로 보여 논란이 일고 있다. 국민은행과 케이비금융지주의 사외이사들은 각각 경영 정상화를 명분으로 일괄 사퇴를 거부하거나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리를 보전하고 있다.
26일 김중웅 국민은행 이사회 의장은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에서 열린 이사회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사퇴 여부를 묻는 질문에 “(금융당국에서) 억울하게 징계 처분을 받은 우리 직원들을 돕지 못했다는 점에서 가슴이 아프다”며 “도의적 책임을 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김 의장은 “케이비 사태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지고 경영 정상화 이후 물러나겠다”며 “임기 만료 시점(내년 4월)이 돌아오면 연임할 생각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은행권에서는 “김 의장이 연임할 뜻이 없다고 밝혔을 뿐,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태도를 보이기는커녕 금융당국에 오히려 불만을 드러내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김 의장을 비롯한 국민은행 사외이사 6명 가운데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으로 즉각 사퇴할 뜻을 표명한 이는 아무도 없다. 임기가 만료된 오갑수 사외이사(전 금융감독원 부원장)가 이날 연임하지 않겠다고 밝혔을 뿐이다.
이는 2010년 신한금융지주의 라응찬 전 회장과 신상훈 전 사장이 충돌했을 때 신한 사외이사들이 보인 태도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당시에는 라 전 회장과 신 전 사장이 물러나면서, 사외이사들도 경영 정상화에 필요한 사외이사 2명만 남겨놓고 나머지 6명 전원이 일괄 사퇴했다.
더군다나 국민은행 사외이사 6명은 이번에 모두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주의’ 상당의 경징계를 받은 바 있어,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처지다. 금감원은 지난 4일 김중웅 이사회 의장을 비롯한 사외이사 6명과 사내이사 2명 등 8명의 이사에 대해 정당한 사유 없이 안건 상정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주의’ 처분을 내렸다.
국민은행 외에 케이비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들 역시 100% 완전 자회사인 국민은행의 주전산기 갈등 문제를 수수방관했고 이번 사태를 조기 수습하는 노력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