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내년에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질 것으로 보고 가계대출 및 구조적 취약업종 대출에 대한 경계를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진웅섭 금감원장은 지난 29일 저녁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내년에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경기 하방위험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장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도 사전에 정해진 ‘계기비행’ 방식 뿐만 아니라 ‘시계비행’ 방식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계기비행은 비행 항로 등을 계기에만 의존해 자동화된 비행을 하는 것인데 비해 시계비행은 조종사가 스스로 지형을 보고 항공기를 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내년 경기 상황이 급변할 수 있는만큼, 금융시장의 변화를 민감하게 파악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뜻이다.
특히 진 원장은 “주요 리스크 요인인 가계대출 및 구조적 취약업종 대출에 대해 각별히 관심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내년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가파르게 이어질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 검토에 나선 바 있다.
진 원장은 또 감독당국의 금융시장 개입이 적정 수준으로 제한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감독당국이 금융회사 경영활동에 세세하게 개입해 왔고 금융회사도 이런 감독당국 주도의 타율적 문제해결방식에 안주해온 경향이 있다”며 “과거와 같은 방식의 개입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고 오히려 시장의 자율과 창의를 방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경미하고 반복적인 위규 사항은 금융회사 스스로 시정하도록하는 등 내부감사활동의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금감원은 위법부당하고 중대한 취약부문에 검사역량을 집중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