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59.3
2012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아
대부분 지역·규모별 모두 상승
중위소득자 살 만한 주택은 줄어
2012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아
대부분 지역·규모별 모두 상승
중위소득자 살 만한 주택은 줄어
올해 1분기 주택구입 부담이 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지역별로는 광주광역시, 강원도, 충청남북도, 경상남북도를 빼고 모두 전분기보다 부담이 커졌으며, 주택 규모별로도 소·중·대형 모두 부담 수준이 상승했다.
10일 주택금융공사의 주택금융월보 6월호를 보면, 올해 1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전국 평균이 59.3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58.9)보다 0.4 상승한 것으로, 2012년 4분기(59.9) 이후 가장 높다. 이 지수는 중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수 100은 소득 25%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뜻이다. 이 지수는 2012년 65.3까지 오른 뒤 등락을 거듭하다가 2015년 1분기엔 50.3까지 내려섰으며, 지난해 2분기 이후 석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소득이 늘지 않는 상황에서 집값이 비싸지는데다 올해 들어 금리부담도 높아진 점이 작용했다.
지역별로 서울은 1분기 지수가 전분기보다 1.2 오른 103.6로 가장 높았다. 제주는 85.1로 서울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데다, 전분기보다 무려 6.2나 급등했다. 부산(70.8), 대구(72.0)도 70을 넘어서 부담이 만만찮았다.
반대로 중간 정도 소득 가구가 사기에 적절한 주택 수의 비율(0∼100)을 의미하는 주택구입물량지수(K-HOI)는 지속해서 하락했다. 이 지수가 꾸준히 하락한다는 것은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할 만한 주택물량이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이 지수는 2012년 64.8에서 이듬해 63.3으로 떨어졌고 2014년 62.5, 2015년 61.7로 하락한 데 이어 지난해 60.4로 내렸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