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이상 중소기업에서 성실히 일하던 ㄱ씨는 최근 두 자녀의 학자금 및 생활비로 신용대출을 받아 쓰고 있었다. 그러다 갑작스러운 잦은 기침으로 병원에 갔더니 폐암 진단을 받고 휴직하게 됐다. 일시적으로 소득이 끊기고 병원비 충당 때문에 현금서비스를 쓴 데다 일부 연체가 발생하면서 기존 대출의 연장도 불가능하게 됐다. 은행의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의 상담을 통해 ㄱ씨는 기존 대출을 장기분할상환대출로 전환해, 상환에 대한 압박을 줄일 수 있게 됐다.
22일 금융감독원은 은행 대출 연체가 우려되는 채무자들이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출 만기연장, 장기분할상환대출 및 서민금융상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 2년간 35만명이 실질적인 지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2016년 6월 도입된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은 대출 연체를 예방하기 위해 신용등급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다중 채무 등이 발생한 연체 우려 채무자를 대상으로 은행에서 대출 만기 2개월 전에 안내·상담을 하고 만기연장 등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금감원은 지난 2년간 연체 우려자 38만명(채무액 6조4천억원) 중 91%에 해당하는 35만명(5조8천억원)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31만명(5조2천억원)은 만기연장이나 대출전환 등을 지원받았고, 4만명(6천억원)은 정상적으로 상환했다. 지원내용 종류를 보면, 만기연장의 비중이 89.7%로 가장 높았고, 10년 이상 장기분할상품 대출전환(6.4%), 서민금융상품 대출전환(3.9%)이 뒤를 이었다. 지원 은행별로는 우리(3102억원), 신한(2492억원), 케이비(KB)국민(2324억원), 농협(2272억원) 순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시적 자금악화로 만기에 대출원리금 상환에 어려운 개인채무자는 거래은행에 ‘신용대출 119 프로그램’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며 “연체가 걱정되는 고객들이 선제적으로 채무관리를 받을 수 있어 빚을 내 빚을 갚는 악순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