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남짓 증가…비수기 1월 계절적 특성에
9·13 부동산대책 약발 본격화도 영향 미쳐
9·13 부동산대책 약발 본격화도 영향 미쳐
새해 첫달 주택 관련 대출 증가폭이 줄어들고 개인신용대출 상환액이 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22개월 만에 가장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1월은 원래 부동산과 가계대출 시장 모두 비수기인데다, 지난해 ‘9·13 부동산대책’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효과가 본격화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6일 5대 은행(KB국민, 신한, KEB하나, 우리, 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1월 가계대출 잔액 증가폭은 1조163억원으로 전달(4조161억원)의 4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어 잔액은 571조3798억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3월(3401억원) 이후 가계대출 규모가 가장 작게 늘어났다. 주택 관련 대출 잔액 증가폭이 전달(4조234억원)에 견줘 40%가량 줄어든 2조3678억원에 그치고, 개인신용대출 잔액이 1조1316억원이나 감소한 결과다.
최근 몇달간 주택 관련 대출 추이는 9·13 대책 이후 부동산 거래가 얼어붙으면서 분양 관련 중도금·잔금 등 집단대출이나 전세자금대출 추이에 따라 출렁거리는 모습을 보인다. 최근 2년 새 분양한 대단지의 중도금 회차가 돌아오거나 입주물량이 몰리면 집단대출이 많이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주택을 사고팔면서 발생하는 개별 주택담보대출의 영향력은 약화한 것이다. 그나마 지난해 10~12월엔 9·13 대책 직전 매매의 잔금 납부 효과가 순차적으로 작용했지만, 1월 중엔 그 효과도 거의 사라졌다. 1월 집단대출 증가액은 1조1273억원으로, 지난해 11~12월(1조5996억~2조4534억원)에 견줘 크게 둔화했다.
개인신용대출은 원래 연말·연초면 기업마다 성과급 배분 등이 이뤄지면서 가계자금에 여유가 생기는 덕분에 마이너스통장 등이 상환되는 등 대출이 둔화하는 비수기의 특성을 드러낸다. 지난해 1월엔 주택 추격매수 등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꺼짐이 덜했는데, 올해 1월엔 신용대출 잔액이 1조원 넘게 줄어들면서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를 주도했다. 2017년 1월에도 신용대출 잔액이 9403억원이 줄어들었는데, 올해는 이보다 약간 더 큰 폭인 1조1316억원이 감소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해는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데다 디에스아르 규제 강화 등으로 신용대출도 크게 늘리기 어려워, 은행으로선 중소기업 대출 등 새로운 대출처를 발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