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간편결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페이. 연합뉴스
지난해 간편결제 시장이 80조원으로 성장해, 국민 1명당 간편결제 서비스를 3개씩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에서는 지마켓·네이버·쿠팡 등 이커머스에서 만든 페이가, 오프라인에서는 삼성페이가 가장 많이 쓰였다.
1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 현황을 보면, 간편결제 이용금액은 2016년 26조8808억원에서 2018년 80조1453억원으로 약 3배 성장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43개사가 간편결제 서비스 50종을 제공하고 있는데, 가입자 수는 단순 중복 계산했을 때 약 1억7천만명에 이르렀다. 국민 1명당 간편결제 서비스를 3개 이상씩은 쓴다는 뜻이다.
간편결제란 신용카드 등 결제정보를 앱이나 웹에 미리 등록하고 간편한 인증(생체인증, 간편 비밀번호 등)만으로 결제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결제수단(신용카드, 은행계좌 등)과 결제 처리방식(마그네틱, QR코드 등)에 따라 여러 유형이 존재한다.
사업자별로는 △금융회사 △전자금융업자 △단말기제조사로 나눴을 때, 전자금융업자의 간편결제 금액이 30조9천억원으로 가장 컸다. 그 중 스마일페이(이베이코리아), 네이버페이(네이버), 로켓페이(쿠팡)가 절반 이상(16조2천억원)을 차지하며 이용금액 기준 1~3위를 차지했다. 금감원은 “자사 유통망에 기반을 둔 간편결제 거래금액이 많이 증가한 게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오프라인 간편결제 금액(19조5424억원)도 온라인 간편결제(60조6029억원)의 3분의 1은 됐다. 대개 스마트폰을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에 대면 결제가 되는 삼성페이 방식이 81.6%를 차지했다. 바코드 방식은 12.3%만 이용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시범사업에 들어간 제로페이는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