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
국내 금융기관 전문가들은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 및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를 금융시스템의 새로운 주요 리스크 요인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이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과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96명을 대상으로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를 서베이(4월 22일~5월 14일)한 결과, ‘기업실적 부진’과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미-중 무역분쟁’,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발생 가능성이 중간 정도인 리스크로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이 선정한 총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 집계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미-중 무역분쟁(67%),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 등으로 응답했다. 1순위로 응답한 빈도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순으로 나타났다.
리스크 요인별 발생 시계를 보면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기(1~3년)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직전 서베이(2018년 11월)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된 반면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44%)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