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신뢰도가 떨어진 리보 금리(런던 은행 간 금리) 대신 새 지표금리를 마련하면서, 정부도 2021년을 목표로 대체 지표금리를 도입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지난 14일 ‘지표금리 개선 추진단’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 국내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의 산출방식을 개선하고 2021년 새로운 지표금리를 공시하기로 했다. 국제기구인 금융안정위원회(FSB)는 2012년 리보 조작사건을 계기로 호가 방식이 아닌 실거래 기반의 ‘무위험 대체 지표금리’(Risk-Free Rate) 개발을 권고했다.
국내 대체 지표금리는 콜금리나 환매조건부매매(RP)금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리보가 산출되는 통화국인 영국·유럽연합(EU)·일본은 무담보 익일물 콜금리를, 미국과 스위스는 아르피금리를 대체 지표금리로 채택한 바 있다. 이석란 금융위 금융시장분석과장은 “국가마다 거래 양태와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지표를 쓸지는 검토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21년 상반기까지 대체 지표금리를 선정·공시할 계획이다. 시디금리도 발행시장 규모가 작고 호가 기반으로 산정돼 대표성·신뢰성이 낮은 만큼 산출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