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금융교육 관련 양질의 콘텐츠를 정부가 보증하는 콘텐츠 인증제를 도입한다. 또한 정부가 온라인 콘텐츠몰을 만들어 금융 상담과 연금계산 등 생활 속 금융 관련 고민을 해소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위원회는 29일 법정기구인 금융교육협의회 회의를 열어 ‘개인의 삶에 필요한 최소한의 금융역량을 갖추도록 한다’는 목표 설정과 함께, ‘금융교육 개선 기본방향’을 의결하고, 콘텐츠·전달채널·강사 등 금융교육 전반을 개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융교육협의회는 올해 3월 공포된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라 정부 6개 부처와 금융 유관기관 14곳,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등 5개 교육단체로 구성됐다.
금융위는 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국민 1천명과 교육수강생 800명 등 총 2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국민들의 금융교육 수요는 크지만, 체감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자의 68.6%가 자신의 금융지식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변했으며, 85.3%는 금융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필요한 금융지식은 주로 인터넷·서적(47.8%)이나 금융거래 과정에서 직원과의 상담(24.7%)으로 해결했으며, 금융교육이나 공적 상담을 이용하는 비율은 6.5%에 불과했다. 이런 점들이 약탈적 대출 피해가 증가하고 고위험 금융상품 대규모 손실 등 각종 금융 피해 사례가 잇따르는 배경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자료: 금융위원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금융위는 우선 금융교육 콘텐츠가 체계적으로 관리·개발될 수 있도록 외부전문가와 함께 ‘금융이해력지도’를 설계하기로 했다. 이는 건전한 금융생활에 필요한 태도·지식·기술을 생애주기단계, 금융상황 등을 기준으로 정리한 도표다. 이 지도를 통해 콘텐츠 전반을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금융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콘텐츠 인증제를 도입한다. 콘텐츠 인증기준을 세우고, 금융위가 인증한 콘텐츠에는 ‘파이낸스 센스’(finance sense) 같은 브랜드를 표시함으로써 국민의 정보탐색 비용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교육콘텐츠의 전달채널을 체계화하기 위해 직장·지방 금융교육의 기초 인프라로 전국 각지에 금융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관·단체의 신청이 있는 경우에 교육을 제공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연중 교육계획을 사전에 알려 개인이 필요할 때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인증된 콘텐츠와 함께, 생활 속 금융고민 해소에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몰’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곳에서는 금융·법률 상담 커뮤니티, 연금계산, 내 주변 금융교육 프로그램 찾기 등 서비스가 제공된다.
양질의 교육인력을 확보하는 노력도 강화한다. 금융교육 강사 자격의 신뢰 확보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개별 교육기관에서 관리되는 강사들이 국가 전체적으로 통합 운영될 수 있도록 금융교육 강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금융교육협의회를 중심으로 실무진 협의체인 워킹그룹을 통해 기관들간 소통을 활성화해 연간 금융교육계획 수립, 협업 유도 등을 해나갈 방침이다. 또 금융교육 정책집행 전담기구로 ‘금융교육센터’(가칭) 설치를 검토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금융교육협의회 참여기관과 함께 이번에 의결된 기본방향을 토대로 세부 실천과제를 발굴·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금융교육협의회 참여기관, 외부전문가 등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금융이해력지도 설계와 콘텐츠 인증제 도입 등 심도있는 검토가 필요한 사안은 상반기 중 연구용역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