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이 2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어려움에 빠진 소상공인을 돕는 2차 금융지원에 3만1442건이 사전접수됐다고 금융위원회가 밝혔다.
금융위는 26일 손병두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을 열어,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당초 1차 금융지원 프로그램 대비 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높은 금리, 낮은 한도 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면서 “그러나 5월 18일부터 5일간 총 3만1천여건, 3100억원이 사전접수되며 자금이 필요한 실수요자 중심으로 자금신청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1차 금융지원 때는 소상공인들이 몰리면서 신청 접수가 늦어지는 등 창구가 혼잡을 빚기도 했다. 이번 2차 금융지원은 대출 한도가 업체당 1000만원이고, 금리도 기본 3∼4%로 설정돼 1차때보단 상대적으로 조건이 좋지는 않다. 반면 1차 때와는 달리 신용보증기금 방문 없이 은행에서 보증과 대출을 한꺼번에 신청할 수 있어 접수는 수월해졌다.
손 부위원장은 “정부는 총 16조4천억원의 초저금리 금융지원 패키지를 통해 약 43만명의 소상공인에게 긴급자금을 공급하고 있다”면서 “보증의 레버리지와 이차보전의 금리감면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여 적은 재원으로도 많은 소상공인에게 초저금리로, 효율적으로 자금을 공급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아울러 손 부위원장은 “금융위는 저신용 회사채·씨피(CP·기업어음) 매입기구 설립과 기간산업안정기금 출범을 위해 노력해왔다”면서 “기간산업안정기금의 경우 이번주 내로 민간전문가를 중심으로 기금운용심의회를 구성하고 기금을 출범시키겠다. 6월부터는 기업들의 자금지원 신청을 통해 지원이 개시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날 코로나 금융지원으로 신규대출·보증지원 등을 통해 총 107조8천억원을 지원했고, 업종별로 보면 운수·창고업(16조1천억원) 도매업(13조5천억원) 음식점업(8조7천억원) 소매업(8조7천억원) 섬유·화학제조업(6조6천억원) 순으로 지원했다고 집계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