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K뉴딜위 첫 현장 간담회
‘국채금리+알파’ 수익률 제시
정부가 해지할땐 원리금 보장
금융자산가 분리과세 과도 혜택
지주사 다수 투자 허용도 문제
‘국채금리+알파’ 수익률 제시
정부가 해지할땐 원리금 보장
금융자산가 분리과세 과도 혜택
지주사 다수 투자 허용도 문제
시중의 풍부한 자금을 국책사업에 끌어들이려는 ‘뉴딜펀드’가 안전성과 환금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미래전환 케이(K)뉴딜위원회는 5일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에서 첫 현장 정책 간담회를 열고 뉴딜펀드 띄우기에 나섰다. 뉴딜펀드는 ‘한국판 뉴딜’ 사업의 대상인 데이터센터·스마트산업단지 등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자하는 인프라 펀드다. 이 위원회의 디지털분과 티에프(TF) 단장인 홍성국 의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정부가 뉴딜펀드를 해지하는 경우 (투자자의) 원리금을 보장하고 신용보증기금이 투자사업당 5천억원 한도로 보증(매입약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와 정책금융기관 등 공공부문이 위험을 우선 부담해 민간자금이 들어올 수 있도록 멍석을 깔아주는 셈이다. 또 펀드의 만기가 3~10년에 달하는 점을 감안해 증시에 상장시켜 환금성을 높이도록 했다.
뉴딜펀드의 예상 수익률은 ‘국채금리+알파’로 제시해, 당초 거론되던 ‘연 3%대’에서 다소 후퇴했다. 현재 국고채 금리는 10년물이 1.28%, 3년물이 0.78% 수준이다. 대신 배당수익에 대한 세제 혜택을 강화한다. 정부의 분리과세 혜택방안에 더해 3억원 이하 투자금의 소득에 대해서는 5.5%(주민세 포함) 저율과세를 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쪽도 이날 간담회에서 30조원 규모의 신규 민자사업을 발굴해 2023년부터 매년 10조원 이상씩 민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국민참여형 공모 인프라 펀드(뉴딜펀드)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펀드의 차입한도를 확대(자본금의 30%→50%)하고 사회기반시설이 아닌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를 제한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달 14일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등 3개 정책방향을 뼈대로 한 ‘한국판 뉴딜’ 사업을 발표했다. 총 예상 사업비 160조원 가운데 대부분(86%)을 국비와 지방비로 충당하고 10% 정도는 최근 저금리로 급격히 불어난 시중 유동성을 활용하기 위해 뉴딜펀드 추진에 나선 것이다.
일부에서는 분리과세 허용 등 금융자산가를 위한 과도한 세제 혜택과 지주회사가 다수의 사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데 대한 비판이 나온다. 갈곳을 잃은 부동자금에 적절한 투자처를 제공한다지만, 단기성 투자자금이 중장기 뉴딜사업으로 유입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에 대해 송홍선 자본시장연구원 연금실장은 “가계자산의 40%를 차지하는 예금이나 안정성을 선호하는 채권 투자자금은 뉴딜펀드가 2%대 수익률만 내도 급속히 옮겨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규제완화에 대해서도 “공공재에 투자하면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투자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들은 뉴딜펀드가 국민 재산을 증식하고 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등 신산업 육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성인모 금융투자협회 전무는 “퇴직연금에 뉴딜펀드를 편입해 운용하면 수익률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