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 국·과장 및 산하기관장과 통신사업자 단체 대표 등이 녹색소비자연대 직원들과 서울역에서 통신요금 절약 캠페인을 벌이기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제발 통신요금 좀 절약해주세요.’
미래창조과학부가 13일 딸린 기관 및 소비자단체 등과 함께 대대적인 ‘통신요금 절약 캠페인’에 나섰다. 이번 캠페인에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등 통신사업자 단체들까지 대거 참여해 눈길을 끈다. 이들 단체는 통신사업자들의 이익을 대변해야 할 처지인데, 거꾸로 통신사업자들의 수익을 줄이는 통신요금 절약 캠페인에 동참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는 추석 명절을 맞아 13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역 등에서 귀성객들을 대상으로 통신요금 절약 캠페인을 벌인다고 밝혔다. 캠페인은 전국의 주요 기차역과 버스터미널 10곳에서 진행되며, 미래부 국장급 및 산하기관장과 녹색소비자연합 자원봉사자, 통신사업자 단체 대표와 직원 등 14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귀성객들에게 통신요금 절약 방법을 담은 유인물을 나눠주고, 일대일 상담도 해주고 있다.
미래부는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지원금에 상응하는 20% 요금할인, 알뜰폰 활용 방법, 어르신·청소년·장애인을 위한 전용요금제 등 다양한 통신요금 절약 방법을 이용자들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라며 “통신비는 아는만큼 절약할 수 있다. 앞으로도 합리적 통신 소비를 위한 알림 활동을 계속 벌여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말기 유통법) 시행으로 이동통신 사업자들만 배를 불리고 있다는 이동통신 소비자들의 불만이 팽배해지는 것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단말기 유통법 시행 이후,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부담을 줄여주는 단말기 지원금은 대폭 축소된 반면, 이통사들의 이익은 급증하고 있다.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통신요금 절약 방법을 알려주는 활동도 필요하지만, 요금 인하를 통해 늘어난 이익을 이용자들에게 돌려주게 하는 조처가 병행돼야 한다. 그래야 단말기 유통법 시행 취지에 맞다”고 지적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