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민간 사업자가 활용할 수 있는 국가디지털전환 과제 3가지를 구축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전자의료기록(EMR) 인증 표준 플랫폼(보건복지부)과 불법주정차 통합 플랫폼(서울시), 친환경 농산물 유통 플랫폼(전라남도)이 그 대상이다.
정부주도형 국가디지털전환사업은정부가민간 사업자들이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수집해서플랫폼형태로 제공하고, 민간 사업자가 이를가공해 각종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면 정부가 다시 구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과거엔 정부가 행정업무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구축했는데 이제는 민간 사업자를 끌어들여 민간소프트웨어개발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다.
정부가 발표한 세 가지 과제를 살펴보면, 보건복지부는 전국 의료기관·업체가 각자 구축한 전자의무기록(EMR)을 서로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표준 웹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엠아르에서 쓰는 표준 용어와 인증기준별 표준 개발 가이드, 한국형 임상문서규격(CDA) 템플릿 등을 제공하고 이를 적용한 참조 모듈(오픈소스)도 개발해 민간에 개방했다. 전자의무기록이 원활하게 공유되면 환자가 서로 다른 병원에 갈 때마다 검사 결과지와 의료영상정보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과기부는 “(새로운 시스템을 활용하면) 의료정보업체가 더 질 좋은 이엠아르를 개발할 수 있고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신산업도 창출할 수 있다”고설명했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별로 각자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을 통합·연계해 민간과 공공사업자 모두 활용하는 불법주정차 통합플랫폼을 만들었다. 이를 활용하면 민원인이 자치구별로 회원가입할 필요 없이 한 번만 가입해도 모든 자치구의 불법주정차 정보를 볼 수 있다. 과기부는 “불법주정차 관련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해 주차 정보 관련 내비게이션이나 주차장 안내 애플리케이션 등 새로운 민간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말했다.
전라남도는 친환경 인증 경지 면적이 전국의 50%를 차지한다는 점을 활용, 친환경 농산물 생산·가공·유통·소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했다. 농산물 생산자와 판매자, 소비자 모두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다. 과기부는 “정보공유와 증빙, 검수 작업이 간소화됐고 학교급식에 적용하거나 온라인 판매점포를 여는 등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강조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달 안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홈페이지(www.ni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경희 과기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민간소프트웨어시장 확대를 위해 공공 부문이 먼저 민간의 서비스 개발 수요를 선제적으로 반영해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민간 서비스 창출과 연계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겠다”고말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