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15일 전자출입명부를 도입한 서울 종로구 실내 체육시설 현장을 방문해 QR코드를 찍고 있다. 연합뉴스
유흥업소 등 고위험시설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큐알(QR)코드가 카카오톡에도 적용된다. 카카오가 카카오페이로 가능하다던 기존 입장을 뒤집고 카카오톡에 큐알코드를 반영하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먼저 나섰다.
18일 카카오와 보건복지부의 설명을 종합하면, 양쪽은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큐알코드를 카카오톡에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카카오는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구축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지난달 말 이미 정부에 전달했지만, 방역 당국과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참여가 불발된 바 있다. 최초 논의 과정에서 정부는 사실상 전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에 큐알코드를 반영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카카오가 카카오페이 앱을 통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이다. 카톡이 불발되자 정부는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는 인증서비스 ‘패스’ 앱을 통한 개발에 나선 상황이었다.
‘카톡 큐알코드’는 카카오가 보건복지부에 먼저 제안하면서 다시 논의가 본격화됐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매일 40~50명대 확진자가 새로 나오는 등 코로나19 상황이 쉽게 진정되지 않으니 카카오가 전자출입명부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와 카카오는 오는 19일 ‘카톡 큐알코드’의 도입 시기와 기술적 해법 등 구체적인 구현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가능한 6월 중으로 도입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구현 방식은 ‘카톡 큐알코드’ 데이터를 4주간 보관하게 되면 대화 내용은 2∼3일간 보관된다는 기존 카카오톡 정책과 충돌할 여지가 있으니 두 가지 데이터를 분리해서 운영할 수 있도록 체계를 정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카카오페이 앱을 통한 참여가 가능하다”던 카카오의 입장을 두고 아이티(IT) 업계에서는 각종 해석이 분분했다. “2014년 ‘카톡 감청’ 논란과 사이버 망명사태를 겪었다 보니 대화 메시지만큼이나 민감한 개인정보인 동선 기록을 정부에 제공하는 체계를 도입하는 것은 카카오로서는 부담스럽지 않겠냐”거나 “프라이버시 보호는 명분이고 사실은 페이 사업 확대를 위해 꼼수를 부리는 것 아니냐”는 얘기들이 있었다. 카카오 쪽은 ‘카톡 큐알코드’ 논의와 관련해 “카카오톡에서 구현 가능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구체적 방식이나 시기 등은 복지부와 협의 예정”이라고만 밝혔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