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감귤폐원지를 활용해 만든 태양광 발전 단지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확대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면서 전력 생산을 맡고 있는 5대 발전공기업이 이른바 ‘에너지 코드’ 맞추기에 골몰하고 있다. 그동안 신재생에너지 사업 투자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에도 석탄과 원자력을 앞세워온 발전공기업들은 부랴부랴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나서는 분위기다.
발전공기업들의 발걸음이 분주해지는 가장 큰 이유는 ‘신재생에너지 예산의 확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4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업무보고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비율을 20%까지 늘리겠다”는 문재인 대통령 공약의 이행 계획을 제출했다. 산업부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규모 등 구체적인 투자계획을 밝힌 바 없다”고 했지만, 공약 이행을 위해서는 지난해 기준 약 1조5천억원 수준이던 신재생에너지 개발 예산이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 하늘목장’ 1단지에 세워진 풍력발전기의 모습. 이병학 선임기자
이런 분위기 속에서 발전공기업들도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적극 알리고 있다. 한국서부발전은 24일 발전공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세종시 은하수 태양광 설비에 3.8㎽h(메가와트시)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세웠다. 또 올해 사업비 424억원을 들여 충남 태안과 경기 평택, 서인천, 전북 군산 발전소의 남는 땅에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장치 설비를 만들고, 풍력과 소수력·바이오매스, 수소가스의 화학반응에서 전기를 얻는 연료전지발전 설비도 만들 계획이다. 한국남동발전도 제주도에 ‘탐라해상풍력’ 설비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전남 신안 등에 해상풍력단지를 추가로 세우려 한다. 한국중부발전은 전남 완도에 풍력 설비와 폐철도 시설을 활용한 태양광 설비, 연료전지 사업 등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동서발전과 한국수력원자력도 발전소 부지 안에 태양광 설비를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발전공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수익성’을 이유로 실제 투자는 주저해왔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제도로 발전량 가운데 일정 비중을 신재생에너지로 채우도록 하고 있지만, 태양광·풍력설비를 세우기보다는 해외에서 ‘우드펠릿’을 사들여 석탄발전과 함께 연료로 쓰는 경우가 많아 국정감사에서 지적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새 정부가 노후석탄발전소의 일시 가동중단 등 환경·에너지 정책에서 ‘강한 드라이브’를 걸면서 이제는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투자 계획을 내놔야 하는 상황이다. 한 발전공기업 관계자는 “아직 세부 투자 계획을 짜지는 못하고 있지만 늘리는 쪽으로 가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