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매각과 관련해 채권단이 금호산업에 공문을 보내 “9일까지 상표권 사용 허용을 약속해달라”고 통보했다. 새 정부 들어서도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대한 채권단 입장은 전혀 변화가 없는 셈이다.
7일 산업은행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 주주협의회(채권단)는 지난 5일 채권단 명의로 ‘상표권 5+15년 보장’과 ‘사용료율 연 매출액의 0.2%’를 허용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금호산업에 보냈다. 회신기한은 오는 9일까지다. 이는 더블스타가 지난 3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면서 채권단에 매각 선행조건으로 요구한 내용과 같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지난 2일 채권단 회의를 거쳐 이런 내용의 상표권 사용 허용을 요청했다”며 “현행 상표권 사용료율이 연매출 0.2%인데, 이 조건으로 5년간 사용을 보장하고 그 이후 더블스타가 추가로 15년 더 사용하겠다면 이를 금호산업이 허용한다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또 “9일까지 금호 쪽이 상표권 사용 기간과 요율에 대한 새로운 안을 제시하면 이것을 더블스타와 다시 협의해야겠지만, 상표권 사용을 허용하지 않아 더블스타로의 매각이 무산된다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금호타이어 대표이사직 사퇴를 비롯해 현 경영진에 대한 책임 문제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만약 박 회장이 상표권 사용을 허용하면 사실상 금호타이어를 포기하겠다는 뜻이나 마찬가지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쪽은 이날 “9일까지 입장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또 “더블스타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기 이전에 상표권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상표권 소유자인 금호산업이 빠진 상태에서 더블스타와 채권단이 이미 계약 체결을 하고 나서 사후적으로 허용을 요청하고 있다”고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달 금호타이어 대출채권(1조3천억원)의 만기를 이달 말에서 더블스타와의 매각협상 기한인 9월 말로 연장해주는 안을 채권은행들에게 물었다. 채권단 관계자는 “9일 박삼구 회장의 답변을 본 뒤에 은행들이 채권만기 연장에 대한 동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 만기 연장을 카드로 박 회장을 계속 압박하겠다는 얘기다. 조계완 정세라 김성환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