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서 근무하고 있는 씨제이(CJ) 대한통운 실버배송원들이 누적 배송량 2,000만 상자 돌파를 기념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씨제이 대한통운 제공
씨제이(CJ)대한통운 소속 실버택배 배송원들의 손을 거쳐 간 택배 상자가 2천만 개를 돌파했다.
씨제이 대한통운은 “회사의 대표적 공유가치창출(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경영·Creating Shared Value)형 모델인 ‘실버택배’ 사업을 통해 시니어들이 배송한 택배량이 2천만 상자를 넘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들이 2013년 도입한 실버택배는 택배 차량이 아파트 단지까지 물량을 싣고 오면 노인들이 친환경 전동 카트를 이용해 각 가정까지 배송하는 사업모델이다. 관계자의 설명을 들어보면, 실버배송원들이 배송한 택배량은 2013년 70만 상자 수준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해 올해 800만 상자를 넘었다. 올 12월까지 누적 배송량은 2천만 상자에 달한다.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서 근무하고 있는 씨제이(CJ)대한통운 실버배송원들이 누적 배송량 2,000만 상자 돌파를 기념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씨제이 대한통운 제공
앞서 씨제이 대한통운은 2013년 일자리·친환경·지역사회 기여라는 3대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실버택배 모델을 개발하고 추진해 왔다. 같은 해 보건복지부와 ‘시니어 일자리 창출 MOU’를 체결한 뒤, 서울시를 비롯해 부산, 인천, 전남 등 전국 지자체들과 협력해 노인 일자리를 확대해 오고 있다.
부산 연제구에서 처음 시작된 실버택배는 초기 4개 거점, 41명 규모로 출발했다. 이후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택배 거래량 증가, 은퇴 뒤 재취업 희망 고령층 증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과 지자체의 협업으로 사업이 활성화됐다. 현재 전국 160여 개 거점, 1300여 명으로 확대됐다.
실버 배송원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실버 인력 1인당 하루 3~4시간 근무하고, 택배 물량도 평균 50~60개 정도여서 체력적인 부담이 적다고 한다. 매일 발생하는 택배 물량이 있어 지속적인 소득이 보장된다.
씨제이 대한통운 관계자는 “민관협력을 통해 고안한 실버택배 모델은 양질의 노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등 고령사회 대응에 필요한 실질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면서 “협력업체 및 사회적 취약계층과 지속가능한 동반성장을 도모하고 건전한 산업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