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런 헐스트 보잉 마켓 분석·세일즈 지원 총괄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상용기 제품 및 시장 전망 기자 간담회’에서 국내 항공시장 분석과 보잉 핵심 기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보잉 코리아 제공
“한국 항공시장에서 저비용항공사(LCC)가 중·단거리 노선의 40%를 점유하고 있다. 지난해 중·장거리 시장이 8% 성장할 동안 저비용항공사는 2배인 15% 성장했다.”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보잉코리아가 주최한 ‘(보잉) 상용기 제품 및 시장 전망’ 간담회에 참석한 대런 헐스트 보잉 마켓분석·세일즈지원 총괄은 전 세계 항공시장의 성장은 아시아 지역에서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의 항공 여객 수송 성장률은 2012년 이후 해마다 평균 9% 이상 성장률을 보였고, 주로 저비용항공사들의 주도로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이날 보잉 코리아쪽 설명을 들어보면, 지난해 세계 항공시장은 승객수는 41억여 명을 기록했다. 또 여객수송 증가율은 7.6%, 탑승률은 81.2% 등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 시장의 빠른 성장이 두드러졌고 한국 시장의 성장도 눈에 띈다.
지난해 여객수송 증가율은 아시아가 10.1%로 세계 전 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유럽(8.2%)과 남미(7.0%), 중동(6.4%), 미주(4.2%) 등이 뒤를 이었다.
헐스트 총괄은 “한국은 인천이 허브공항으로 출발·도착 (승객)외에도 환승 (승객) 수요가 상당하다. 이런 (지리적) 입지를 바탕으로 다른 아시아 국가의 성장 수요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보잉)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 중 하나다”라고 말했다.
헐스트 총괄은 이날 한국 항공업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종으로 보잉사의 737-800기종을 꼽았다.
보잉사의 737-800기종은 국내 저비용항공사인 제주항공을 비롯해 이스타항공과 티웨이항공 등에서 운용 중인 ‘협동체(단일 통로)' 항공기다. 최근 저비용항공사들이 장거리 노선까지 취항을 늘리면서 ‘광동체(통로 두 개 이상)' 항공기 주문도 늘고 있다는 게 헐스트 총괄의 설명이다.
그는 중·장거리 노선 확장을 준비 중인 저비용항공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 기종으로 보잉 787-800, 787-900 등의 기종을 제안했다. 헐스트 총괄은 “한국 저비용항공사들이 장거리 노선 진출을 위해 단일통로 기종에서 광동체 기종으로 바꾸려면 비용 증가가 걸림돌이 될 것이다”라면서 “보잉 787-800, 787-900기종이 광동체 기종으로 진입하는 리스크(위험)를 줄여주는 기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