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3종. 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3종이 지난해 유럽 매출 6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베네팔리’는 유럽 누적매출 1조원을 넘겼다.
바이오젠은 29일(현지시각)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종(베네팔리·플릭사비·임랄디)의 지난해 유럽매출이 지난해와 견줘 44% 늘어난 5억4520만달러(약 6002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젠은 유럽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를 판매하는 유통사다.
제품별로는 ‘베네팔리’의 매출액이 4억8520만달러(약 5342억원)로 지난해보다 31% 늘어났다. 2016년 2월 출시된 베네팔리는 누적매출 9억5660만달러를 기록해 1조원을 돌파했다. 류머티즘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독일에서는 베네팔리의 오리지널 의약품인 ‘엔브렐’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삼성의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인 ‘플릭사비’의 지난해 매출액은 4320만달러(약 476억원)로 작년과 견줘 380% 늘어났다. 다국적 제약사 얀센의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로, 셀트리온의 ‘렘시마’가 유럽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매출이 가장 높다.
지난해 10월 유럽에 출시한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 ‘임랄디’의 실적도 공개됐다. 임랄디는 출시 후 70여일 만에 1670만달러(약 184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임랄디는 독일에서 출시 첫 달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유럽 전체에서는 11월부터 2개월 연속 바이오시밀러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