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이 배당을 확대하라는 국민연금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남양유업은 11일 “(배당 확대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이익 증대를 대변하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내용의 입장자료를 냈다. 지난 7일 국민연금이 배당 확대를 요구하는 내용으로 주주제안을 한 지 나흘 만에 이를 사실상 거부한 것이다. 남양유업은 고배당 정책으로 선회 시 오너일가를 배불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남양유업 최대주주는 홍원식 회장(51.68%)으로, 홍 회장 부인(0.89%)과 동생 홍우식(0.77%)·홍명식(0.45%)씨, 손자 홍승의(0.06%)씨 등 특수관계인 지분까지 합치면 53.85%가 오너 일가 소유다. 남양유업은 배당금이 늘어나면 절반 이상의 혜택이 오너 일가에 집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남양유업은 사내유보와 저배당 정책을 통해 투자 동력을 확보해왔다고 주장했다. 남양유업은 “고배당을 통한 회사 이익의 사외유출보다는 사내유보를 함으로써 재무구조 건전성을 높이고, 장기투자를 위한 밑거름으로 활용하는 것이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했다”며 “(이를 통해) 1997년 IMF 외환위기부터 무차입 경영이 가능했고, 이후 재무구조 건전성이 높아지고 기업의 가치는 더욱더 상승했다”고 했다.
남양유업은 “앞으로도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런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지분율 6.15%를 보유한 국민연금이 주주권익을 대변한다는 논리는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남양유업은 다음달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을 안건으로 올릴 방침이지만, 홍 회장 지분이 과반인 탓에 안건이 주총을 통과할 가능성은 작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연금은 지난 7일 주주권행사 분과위원회를 열고 배당정책 수립·공시 관련 심의·자문 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으로 정관을 변경할 것을 주주제안했다. 남양유업을 ‘기업과의 대화 대상기업’(2016년 6월), 비공개중점관리기업(2017년), 공개중점관리기업(2018년)으로 선정하며 지속적으로 수탁자책임 활동을 펼쳤는데도 배당정책 관련 나아진 것이 없어 주주제안을 하게 됐다고 국민연금은 밝혔다.
남양유업은 2011년부터 보통주 1주에 배당금을 1000원으로 유지해왔다. 배당성향(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은 2017년 기준 17%로 상장기업 평균(33.81%) 절반 수준이었다. 현소은 기자
so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