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부간 항공회담이 시작되면서 중국 하늘길이 더 넓어질지 항공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저비용항공사를 중심으로 기대감이 큰 반면, 일각에서는 중국 쪽 저가공세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중 항공당국은 13~15일 중국 난징에서 항공회담을 진행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1월 중국과 실무회담을 벌여 2014년 한중항공회담 이후 약 5년 만에 논의를 시작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운수권 확대, 코드셰어(좌석 공유) 등을 중요하게 다뤄질 예정이다.
업계의 시선은 운수권 확대 여부에 쏠려 있다. 그동안 중국 여객 노선 수요에 비해 운수권 확대는 지지부진했다. 한-중 양국은 2014년 항공회담에서 ‘17개 신규노선 개설, 운항횟수 주 90회 추가’ 등에 합의했지만 이후 별다른 논의 결과는 없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자국 항공산업 보호를 내세워 운수권 확대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고 설명했다. 그 사이 중국 여객 수요는 꾸준히 늘어, 지난해 중국 노선 여객(1611만명)은 전년보다 15.6% 늘어나는 등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운수권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회담 결과에 따라 그동안 대형항공사(FSC)들이 독점해온 중국 노선을 배분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성수기 탑승률이 95%에 달해 ‘황금노선’이라 불리는 인천~베이징 노선과 인천~상하이 노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취항해왔다. 한국과 중국은 산둥성·하이난성에 한해서만 여객·화물 자유화 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나머지 지역에 여객기를 더 띄우기 위해서는 항공회담에서 운수권 확대에 합의하고 확보한 운수권을 정부가 항공사에 배분해야 한다. 한 저비용항공사 관계자는 “수익성 좋은 중국 노선에 들어갈 수 있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도 선택지가 다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운수권이 확대돼 중국 항공사의 운항횟수가 늘어나면 자국 항공산업에 위기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물량 공세를 펼치면 국내 항공사가 대응하긴 쉽지 않다. 중국 등 단거리노선이 많은 저비용항공사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