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만(50) 청와대 홍보수석의 낙마는 <청와대브리핑>에 올린 “지금 집 사면 낭패”라는 글과 함께, 강남의 고급 아파트 장만 과정이 구설에 오른 점이 작용했다. 이 수석은 강남에 10억원대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실이 공개되면서 “반강남 정책을 펴는 청와대 인사들이 강남에 고급 아파트를 갖고 있느냐”는 다분히 감정적인 공격을 받았다.
서울 일원동 샘터마을 극동아파트(31평형)에 살던 이 수석은 국정홍보처장에 임명되기 직전인 지난 2004년 3월, 서울 역삼동의 현대아이파크 아파트(55평형)를 분양받았다. 이 수석은 분양가 10억8천만원을 마련하려고 모두 8억4100만원을 대출받았는데, 이 가운데 분양받은 아파트를 담보로 제일은행에서 받은 대출금이 5억4100만원이었고 나머지 3억원은 일원동 아파트를 담보로 외환은행에서 대출받았다. 일부 언론에서 대출 과정에서의 특혜 의혹을 제기했지만, 자체 조사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청와대쪽은 밝혔다.
이 수석의 대출액수가 주택 담보 대출금 비율을 제한하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넘어섰다는 게 의혹의 요지였는데, 청와대 쪽은 “집단 중도금 대출 과정에서는 은행과 시행사간 협의를 통해 담보액수의 예외를 인정한다는 단서조항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뿐 특혜나 불법대출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 아파트의 지금 호가가 분양가의 2배에 이르는 20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취득과정에 문제가 없었음에도, 이번엔 “강남 부동산 값을 잡겠다면서 자신은 강남에 고급 아파트를 분양받아 엄청난 시세차익을 취하느냐”는 비판이 나왔다. 청와대는 결국 강남 집값 폭등에 따른 부동산 문제로 서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실패한 부동산 정책의 ‘수혜자’로 낙인찍힌 이 수석을 감싸기는 더 이상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백만 수석의 ‘지금 집 사면 낭패’라는 글은 좀더 호소적인 투로 썼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어쨌든 그 메시지와 효과는 엄청났다. 그러나 강남아파트 문제로 발이 꼬이면서, 정부 부동산정책을 공격하는 쪽에 제대로 대응을 할 수가 없었다”고 토로했다.
김태규 신승근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