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 “정책효과로 특히 중대형 내릴 듯”
2008년부터 2년간 부동산 가격이 본격적으로 조정 국면에 들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일 ‘부동산 대책의 본질과 접근전략’이라는 보고서에서 “단기적으로는 국지적인 수급불안 요인과 2007년 대선을 앞둔 규제완화 기대심리의 반영으로 가격안정을 낙관할 수 없으나 11·15 공급대책이 효과를 보이는 2008년부터 약 2년간은 부동산 가격의 조정 국면이 본격적으로 가시화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내년 서울과 경기도의 신규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보다 약 21%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는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로 인해 1차 뉴타운과 잠실 재건축 지구 및 판교 신도시의 입주가 본격 시작되는 2008년 이전까지는 부동산 가격의 국지적인 추가 상승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2008년부터는 서울과 수도권의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30% 이상 늘어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최근 2~3년간 공급물량이 집중된 지역, 평형별로는 가장 많이 공급됐던 중대형 평형에서 가격의 하향 안정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특히 “금리 상승과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다주택자의 양도세 중과, 종합부동산세 과표 적용률 상향 등으로 부동산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낮아짐으로써 투기적 수요는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원은 앞으로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지역에 대한 규제보다는 시장 수급 원리를 기초로 한 서민·중산층 주거 안정에 우선순위를 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강남지역 재건축 규제완화 △뉴타운·신도시·기업도시 등의 개발 병행과 비강남권의 주거환경 개선으로 교육·교통·문화 부문 격차 해소 △부동자금의 투기화 방지를 위한 간접투자 금융상품 개발 △부처간, 중앙·지방정부간 협력 강화를 통한 정책 신뢰성 회복 등을 제안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