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폭탄’이라는 용어를 써가며 종합부동산세 저항 움직임을 크게 보도하던 보수신문들이, 막상 종부세 자진신고율이 높게 나타나자 애써 이를 외면했다.
국세청은 19일 종부세 자진 신고율을 집계한 결과, 신고율이 97.7%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지난해(96%)보다 1.7%포인트나 늘었을 뿐 아니라, 올해 신고대상이 지난해(7만4천명)보다 5배나 늘어난 것에 비춰보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하지만 보수신문들의 20일치 보도는 과거 종부세 저항 움직임을 크게 보도했던 것에 비춰 눈에 띄게 적었다.
<조선일보>는 이날 경제섹션 2면에 1단으로 ‘종부세 자진신고율 97%’라고 짤막하게 보도하면서, 별도의 해설없이 지역별 신고율 등 수치만을 보여줬다. <동아일보> 역시 수도권 소식을 다루는 메트로면(16)면에 ‘종부세 신고율 98% 육박’이라는 1단 제목으로 기사를 짧게 다뤘다. <동아일보>는 기사에서 ‘일각의 종부세 납부 거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신고율이 높았던 것은 추후 종부세 위헌 결정이 나더라도 자진신고를 하면 3년 이내에 정정청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가 유일하게 주요면인 3면에 ‘종부세 98%가 자진납부, 국세청도 놀랐다’고 다뤘다. <중앙일보>는 ‘전문가들은 저항하며 버티는 것보다 3% 공제혜택이라도 받고 나중에 이의를 제기하는 게 유리하다는 계산이 분위기를 바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