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동탄 새도시에 들어서는 ‘메타폴리스’의 48평형 사이버 본보기집.
청약 전 ‘실물’ 공개 불허에 업체들 “지나친 규제”
정부, 청약 과열·분양가 상승 들어 ‘사이버’ 권장
정부, 청약 과열·분양가 상승 들어 ‘사이버’ 권장
다음주부터 분양에 들어가는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와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 ‘포스코 더샾 센트럴파크’의 ‘본보기집’(모델 하우스)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분양에 나선 업체들이 각각 수십억원씩을 들여 실물 본보기집을 지었는데, 관할 행정관청이 이를 열지 말고 인터넷을 통해 ‘사이버 본보기집’만 공개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해당 업체들은 실물 본보기집을 만들었는데도 소비자들이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지나친 규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엄청난 비용을 들여 실물 본보기집을 꾸미게 되면 청약 과열을 불러올 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분양값에 전가돼 소비자 부담만 늘어난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택업계 본보기집 규제에 볼멘 소리=정부는 본보기집 현장에서의 청약이 청약 과열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지난해 판교 새도시부터 인터넷 청약과 사이버 본보기집 설치를 시범 실시한 뒤 지난해 12월부터 수도권에 적용하고 있다. 또 오는 9월1일부터는 지방까지 확대된다. 이를 근거로 이번에 화성시와 경제자유구역청이 동탄 새도시 ‘메타폴리스’와 송도 경제자유구역 ‘더샾 센트럴파크’에 대해 실물 본보기집 사전 공개를 금지하고 사이버 본보기집만 열도록 한 것이다. 대신 청약 뒤 당첨자는 실물 본보기집을 볼 수 있도록 했다. ㈜메타폴리스의 경우 동탄 새도시 한 가운데 들어서는 메타폴리스가 새도시의 명물이 될 것으로 보고 일반에 공개하기 위해 지난해 말 90억원을 들여 각종 고급 마감재로 호화 본보기집을 건축했으나, 화성시의 조처로 사용할 수 없게 됐다. 포스코건설도 다음달 초 분양을 앞두고 24억원을 들여 송도 현장에 실물 본보기집을 꾸몄으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다. 주택업계는 이를 두고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지나친 규제라고 주장한다. 김신조 내외주건 사장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실물 모델 하우스를 보는 것과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면서 “민간 업체의 모델 하우스 공개까지 금지하는 것은 지나친 간섭”이라고 말했다. 본보기집 설치 비용 더 줄여야=주택업체들이 실물 본보기집에 집착하는 것은 마케팅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본보기집 현장에 많은 인파가 몰리면 청약률을 높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판교 새도시의 경우 사이버 본보기집만으로도 청약률이 사상 최고치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주택업계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지난해 판교 새도시에 청약했던 정아무개씨는 “아파트 입지는 어차피 실제 공사 현장에 가봐야 알 수 있고 모델 하우스에서 확인하려는 것은 주로 내부 평면과 마감재”라면서 “이런 정보는 인터넷으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 쇼핑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것처럼 사이버 본보기집으로도 얼마든지 청약할 아파트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을 비롯한 일부 소비자에게는 불편한 게 사실이다. 사이버 본보기집이 활성화하면 본보기집 건립 비용을 줄이거나 없애 분양값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보기집 설치 비용은 결국 소비자가 지불할 분양값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부산의 한 주택업체가 본보기집에만 400억원을 쏟아붓기도 했다. 이번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1266가구)의 경우 본보기집 건축에 90억원이 들어갔는데, 이를 가구 수로 나누면 한 가구당 본보기집 때문에 700만원 가량 부담을 지는 셈이 된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