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은 1.3배 증가 그쳐
최근 2년6개월 새 서울 강북권에서 시가 6억원을 넘는 고가아파트 수가 크게 늘어났다.
15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닥터아파트’가 ‘3·30 대책’이 나오기 직전인 2006년 2월과 올해 8월 현재 서울 권역별 고가아파트 가구수(하한가 6억원 초과)를 비교했더니, 강북권 고가아파트 수가 16배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북권은 2006년 2월 당시 고가아파트 가구수가 636가구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1만385가구로 16.3배나 늘어났다. 구별로는 노원구(4386가구), 도봉구(2568가구), 성북구(2058가구) 차례로 고가아파트가 많았다. 특히 강북구와 은평구, 중랑구 3곳은 2년 반 전에는 고가아파트가 한 채도 없다가 새로 고가아파트가 등장했다. 이에 반해 강남권은 고가 아파트 수가 2006년 2월 당시 15만9739가구에서 2008년 8월 현재 20만1171가구로 1.3배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부동산업계는 주택담보 대출을 적극 규제한 2006년 3·30 대책이 강남북 고가아파트 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3·30 대책은 투기지역 안 6억원 초과 아파트의 총부채상환비율(DTI)을 40% 이내로 묶었다. 이에 따라 고가아파트가 많은 강남권에서 주택 거래가 줄어들고 고가아파트 수가 거의 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싼 아파트가 많은 강북권에는 대출 부담이 적어 매수세가 몰리면서 고가아파트 수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